생활정보 / / 2017. 6. 7. 17:22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자세하게 알아보기

우리나라는 주민등록번호로 사람들의 개인정보를 주로 관리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지문 등으로 본인 인증이 되기도 하는데요.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으신 분들은 궁금해하실 수 있어요. 주민등록번호는 크게 앞자리와 뒷자리로 나뉘어지는데요.





신분확인이 가능한 주민등록번호

 

 

총 13자리의 주민번호 의미 중에서 대부분 알고 계신 것은 앞자리인데요. 앞자리는 생년월일로 6자리로 구성되어있죠. 2000년을 기준으로 조금 주민등록번호가 바뀌는데요. 년도의 뒷 2자리가 입력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2001년생은 01로 시작해서 태어난 달과 일이 기재됩니다. 예를 들어 2001년 4월 12일생은 010412로 표기됩니다. 2000년 이전에 태어난 사람을 예로 들어보면 1990년 10월 1일생은 901001로 표기됩니다.

 

 

이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를 알아볼까요? 뒷자리는 아래와 같이 나뉘어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중 맨 첫자리는 성별, 그다음 4자리는 출생지역조합번호, 그다음 한자리는 출생지역의 같은 성 출생신고 순번, 마지막 한자리는 오류검증번호입니다.





첫째 성별

성별은 연도와 내국인과 외국인인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출생년도

 남자

여자 

외국인 남자 

외국인 여자 

 1800년대

 

 

 1900년대

 2000년대

 

제일 많이 볼 수 있는 것은 첫자리에 1, 2, 3, 4가 들어간 분들을 많이 볼 수 있을 겁니다. 2000년대에 태어난 분들은 남자는 3, 여자는 4를 쓰구요. 저는 1990년도에 태어난 남자로 뒷자리에서 첫자리는 1이 들어갑니다. 여자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0, 2, 4, 6, 8이 들어가겠네요.

둘째 출생지역 조합번호(4자리)

출생지역 조합번호는 출생신고를 한 동사무소의 고유번호라고 보시면 됩니다.

셋째 출생지역의 같은 성 출생신고 순번

6번째자리는 해당지역에서 출생신고를 한 당일의 접수순번입니다. 저는 성이 특이해서 1번을 획득했습니다! 반대로 김, 이, 박씨 등은 많은 편이기 때문에 순번이 늦으신 분도 있겠죠.

넷째 오류검증번호

마지막 오류검증번호는 마지막 수를 제외한 12자리에 2, 3, 4, 5, 6, 7, 8, 9, 2, 3, 4, 5를 순서대로 곱한 수의 합을 11로 나누고 난 뒤의 나머지 숫자를 이용하는데요. 11-나머지=오류검증번호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번호는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다가 잘못 입력하는 것을 대비해서 활용도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알고나면 별거 아니지만 엄청 궁금하셨을 겁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