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 / 2017. 2. 28. 15:18

공무원 정년퇴직 나이 연금 수령시기 정리





의학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100세시대라고 하는데요. 노후설계는 이제 필수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철밥통이라고 불리는 공무원도 예외는 아닌데요.

 

공무원봉급

공무원을 많이 꿈꾸는 나라일수록 미래가 어두워진다고 하는데요. 청년들의 꿈이 공무원이 되어서 안정적인 삶을 사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는 정치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점점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지난 2009년 공무원 임용 나이제한이 폐지되면서 고령 수험생들도 늘어났습니다. 공무원 정년퇴직 나이는 만 60세인데요. 연장을 검토중이라고 하네요.





별도로 교육공무원은 정년이 62세로 정해져있습니다. 정년보다 일찍 자진 퇴직을 하면 명예퇴직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정년퇴직을 하면 정년잔여기간에 따라 수당을 지급하기도 하구요.

 

 

공무원 연금은 2016년에 법이 개정되어 20년 재직한 경우 연금을 받는 방식에서 10년 이상 재직을 할 경우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바뀌었습니다. 나이제한이 폐지되면서 뒤늦게 공무원이 되신 분들을 위해서 바꾼 것 같네요.

 

연금 수령 시기는 정년 퇴직 나이는 60세지만 2010년 이전 임용자는 60세부터, 2010년 이후 임용자는 65세부터 가능합니다.

 

 

공무원이 단지 안정적이라는 이유로만 선호하는 직업이 되는 사회가 되어서는 안될텐데 걱정입니다. 하지만 공무원이 되셨다면 공무원이라는 단어에 걸맞게 나라를 위해 정직하게 일해주시길 바랄뿐입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